전체 글 (257) 썸네일형 리스트형 17. 주요 우주 탐사선과 탐사 프로젝트 1. 초기 우주 탐사선1.1 파이어니어 10호 및 11호발사: 파이어니어 10호(1972년), 파이어니어 11호(1973년)목표: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공간을 탐사성과:파이어니어 10호: 목성을 처음으로 근접 통과, 목성의 대기와 자기장을 조사파이어니어 11호: 목성과 토성 탐사, 토성의 고리와 위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 제공2. 보이저 프로그램2.1 보이저 1호와 2호발사: 1977년목표: 태양계 외곽 행성 탐사 및 태양계를 벗어난 성간 공간 탐사성과:보이저 1호: 목성과 토성을 탐사, 현재 성간 공간 탐사 중보이저 2호: 목성, 토성, 천왕성, 해왕성 탐사, 유일하게 모든 외곽 행성을 탐사한 탐사선3. 갈릴레오와 카시니-호이겐스3.1 갈릴레오 탐사선발사: 1989년목표: 목성과 그 위성들 탐사성과:목성.. 16. 인류의 우주 탐사 역사 1. 초기 우주 탐사1.1 스푸트니크 1호발사: 1957년 10월 4일, 소련에 의해 발사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의미: 지구 궤도를 도는 첫 번째 인공위성으로, 우주 시대의 시작을 알림특징:지름 약 58cm, 무게 83.6kg단순한 신호를 지구로 송신1.2 라이카와 스푸트니크 2호발사: 1957년 11월 3일, 소련에 의해 발사된 두 번째 인공위성의미: 최초로 생명체(개 라이카)를 우주로 보낸 탐사특징:무게 약 508kg라이카는 궤도에서 약 7시간 동안 생존2. 유인 우주 비행2.1 유리 가가린과 보스토크 1호발사: 1961년 4월 12일, 소련의 유리 가가린이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우주 비행의미: 인류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, 가가린은 지구 궤도를 한 바퀴 돌고 안전하게 귀환특징:비행 시간 약 108분.. 15. 쌍성과 강착 디스크 쌍성은 두 개 이상의 별이 서로의 중력에 의해 결합되어 함께 궤도 운동을 하는 시스템이며, 강착 디스크는 물질이 천체 주위에서 회전하면서 형성되는 디스크 구조입니다.1. 쌍성 종류와 특성쌍성은 그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, 서로의 상호작용에 따라 다양한 천체 현상을 보여줍니다.1.1 안시쌍성 (Visual Binary)정의: 두 별이 망원경으로 직접 분리 관측될 수 있는 이중성계특징:궤도 운동이 분명하게 보임두 별의 질량과 궤도 요소를 정밀하게 측정 가능1.2 분광쌍성 (Spectroscopic Binary)정의: 두 별이 너무 가까워서 망원경으로는 분리 관측되지 않지만,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존재를 알 수 있는 이중성계특징: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별들의 속도 변화를 측정주기적 스펙트럼 변화로 .. 14. 중성자 별과 펄서 1. 중성자별의 형성중성자별은 매우 무거운 별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후 남은 중심핵이 중력 붕괴를 통해 형성된 천체입니다.1.1 별의 수명 주기와 초신성 폭발별의 핵융합:태양보다 질량이 큰 별들은 중심핵에서 헬륨, 탄소, 산소 등 무거운 원소를 생성하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합니다.이러한 별들은 수명이 끝나갈 때쯤 철을 중심핵에 축적하게 됩니다.초신성 폭발:중심핵이 철로 채워지면 더 이상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어 중력 붕괴가 시작됩니다.급격한 중력 붕괴와 함께 별의 외부 층이 폭발하여 초신성이 발생합니다.중심핵 붕괴:중심핵이 붕괴하면서 매우 높은 밀도와 압력 상태로 압축되어 중성자별이 형성됩니다.2. 중성자별의 구조와 물리적 특성중성자별은 극도로 높은 밀도와 강한 자기장을 가지며, 그 내부 .. 13. 블랙홀의 물리학 1. 블랙홀의 기본 구조블랙홀의 구조는 몇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: 사건의 지평선, 특이점, 그리고 블랙홀의 회전 여부에 따라 차별화되는 영역들.1.1 사건의 지평선 (Event Horizon)정의:블랙홀의 경계로, 이 내부에서는 빛조차 탈출할 수 없음탈출 속도가 빛의 속도를 초과하는 위치특징:사건의 지평선의 반지름은 슈바르츠실트 반지름(Schwarzschild radius)로 정의반지름 $Rs= \frac{2GM}{c^2}$ (여기서 $G$는 중력상수, $M$은 블랙홀의 질량, $c$는 빛의 속도)1.2 특이점 (Singularity)정의:블랙홀 중심부에 위치한, 무한한 밀도와 중력이 존재하는 점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모든 질량이 한 점에 집중됨특징:현재의 물리학으로 설명하기 어려.. 12. 블랙홀의 형성과 종류 1. 블랙홀의 형성블랙홀은 매우 큰 질량을 가진 천체가 중력 붕괴를 통해 형성되는 천체입니다. 이 과정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1.1 별의 진화와 중력 붕괴별의 수명 주기:별은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며, 수소를 헬륨으로 융합핵융합 연료가 고갈되면 별의 중심부는 중력 붕괴를 시작초신성 폭발:질량이 태양의 약 8배 이상인 별은 수명이 끝나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킴폭발 후 남은 중심핵이 블랙홀로 붕괴중성자별:질량이 태양의 약 8-25배인 별은 초신성 폭발 후 중성자별로 붕괴만약 중심핵이 일정 질량을 초과하면 중성자별도 블랙홀로 붕괴1.2 원시 블랙홀 (Primordial Black Holes)우주 초기의 형성:빅뱅 직후의 고밀도 영역에서 형성된 블랙홀이러한 블랙홀은 현재의 관측.. 11.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1. 태양계의 형성태양계는 약 45억 7천만 년 전, 거대한 분자 구름이 붕괴하면서 형성되었습니다. 이 과정은 여러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.1.1 분자 구름의 붕괴분자 구름 (Molecular Cloud):거대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구름주로 수소 분자로 구성중력 붕괴:초신성 폭발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분자 구름이 중력에 의해 붕괴붕괴가 시작되면 구름의 중심부가 수축하면서 원시 태양 (proto-Sun) 형성1.2 원시 태양계 원반회전 원반 형성:구름의 붕괴 과정에서 각운동량 보존에 의해 원시 태양 주위에 회전하는 원반 형성이 원반을 **원시 행성계 원반 (protoplanetary disk)**이라고 함물질의 응축:원시 행성계 원반 내에서 온도와 밀도에 따라 물질이 응축내부의 고온 지역에서.. 10. 왜소행성, 소행성, 혜성 1. 왜소행성/왜행성 (Dwarf Planets)왜소행성은 행성보다는 작지만 소행성보다는 큰 천체로, 태양을 공전하며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할 만큼 충분히 큰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. 그러나 이들은 주 궤도 내의 다른 물체들을 치우지 못했습니다.1.1 주요 왜소행성명왕성 (Pluto):발견: 1930년위치: 해왕성 바깥의 카이퍼 벨트특징: 얼음과 암석으로 구성, 얇은 대기 존재, 다섯 개의 위성 (가장 큰 위성은 카론)에리스 (Eris):발견: 2005년위치: 산란 분포대특징: 명왕성보다 약간 크며 매우 반사율이 높음, 한 개의 위성 (디스노미아)하우메아 (Haumea):발견: 2004년위치: 카이퍼 벨트특징: 독특한 타원형 모양, 빠른 자전, 두 개의 위성마케마케 (Makemake):발견: 2005.. 이전 1 ··· 28 29 30 31 32 33 다음